google = window.adsbygoogle || []).push({});

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눈맞춤

    1. 눈맞춤 피하는 이유 이해하기

    눈을 피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

    • 부끄러움 또는 낯가림
    •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의 지연 (예: 자폐 스펙트럼 특성 등)
    • 과도한 시각 자극에 대한 예민함
    • 단순히 눈맞춤의 중요성을 아직 배우지 못한 경우

    2.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눈맞춤을 유도하기

    1)놀이를 통한 접근

    • 거울놀이: “거울 속에 ○○가 있네!” 하며 얼굴을 함께 보세요. 아이가 자연스럽게 자신의 눈을 관찰하고, 부모의 얼굴도 같이 보게 됩니다.
    • 까꿍 놀이(까꿍–짠!): 시각적 집중을 즐거운 게임처럼 느끼게 합니다.
    • 인형이나 장난감으로 역할놀이: 인형이 “○○야~ 나 봐봐!” 하는 식으로 대화하게 하면 부담이 줄어듭니다.

    2) 흥미로운 소재 사용

    •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 스티커를 **부모 얼굴 근처 (예: 이마나 안경 옆)**에 붙여 보세요.
      → 자연스럽게 시선이 얼굴 쪽으로 향합니다.

    3) 노래나 율동놀이

    • “눈을 마주쳐요~ 손뼉 짝!” 같은 간단한 노래와 동작을 넣으면 자연스럽게 시선 교환이 일어납니다.

    3. 강요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강화하기

    • 억지로 “엄마 눈 봐!”라고 하지 마세요.
    • 아이가 잠시라도 눈을 보면 즉시 짧고 긍정적으로 강화하세요.
      예: “와~ ○○가 엄마 봤네! 너무 좋아!”
      → 눈맞춤이 즐겁고 칭찬받는 경험으로 연결됩니다.

     4. 일상 대화 속에서 시도

    • 식사 중, 책 읽는 중, 간단한 대화 속에서 눈맞춤을 유도하되,
      눈을 안 봐도 대화는 계속 이어가세요.
      → “눈을 봐야 이야기할 수 있다”는 압박감을 줄여줍니다.

     

    아동이 의식적으로 눈을 피할 때 참 난감한 것 같아요. 특히 조음 장애의 경우 치료사를 바라보면서 해야 하는데 거부하는 아동들이 치료가 많이 지연되기도 하죠.

     

    아동에게 강요하지 않고 치료사를 바라보게 하거나 보호자를 바라보도록 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아동의 속도에 맞추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.